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의 장점, 단점, 갱신주기, 발급비용, 발급처, 사용처 등을 비교해보고, 공동인증서와 범용인증서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범용인증서를 개인용과 사업자용으로 나눠보고, 사업자용범용인증서 및 사업자용인증서를 저렴하게 발급받는 방법부터 해외거주자의 공인인증서 발급받는 방법까지 알아보기로 한다.
1.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 구분
- 아직도 대부분의 증권사, 카드사 정부기관에는 여전히 공동인증서를 요구하고 있으므로, 간편한 금융인증서를 발급받는 다고 하더라도, 정작 중요한 순간에는 공동인증서를 추가로 PC에서 발급받아야한다.
구분 | 공동인증서 기존 공인인증서 |
금융인증서 새로운 간편 인증서 |
장 점 | 주식이나 사업을 하지 않는한, 일상생활에서사용시 불편함이 없다. |
휴대전화 본인인증만 하면, 휴대전화에서도 바로 발급이 가능 (은행 인증센터나 네이버, 카카오 등 어플에서 금융인증서 발급선택>신원확인>SMS인증>비밀번호 설정>발급완료) |
단 점 | 처음 발급시에는 은행 등을 방문해야하며, 그 이후에는 1년에 한번씩 갱신 또는 PC에서 재발급받아야한다. 휴대전화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PC에서 보내기 등의 작업을 해야한다. 발급시 여러가지 프로그램이 많이 설치되고, 보안카드 등의 확인절차가 존재한다. 은행을 추가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타행등록절차가 존재하여 까다롭다 |
발급하는 곳(카카오, 패스, 네이버 등)은 여러곳이나, 제휴한 곳이 각각 달라 결국 필요할 때마다 인증서를 추가로 받아야한다. 또한 아직 사용할 수 있는 곳에 한계가 있고, 금융인증서가 가능하더라도 은행에서 발급한 금융인증서만 요구하는 사이트도 존재하고, 금융인증서만으로도 로그인이 안되는 곳들이 많아 아직은 기존 공인인증서(현.공동인증서)도 함께 있어야 한다. 일부 은행 금융인증서는 아직도 타행등록절차가 존재 |
갱신주기 | 1년 | 3년 |
발급비용 | 일반 - 무료 범용 - 유료 |
무료 |
발 급 처 | 은행, 금융결제원, 코스콤, 한국전자인증, 한국정보인증, 한국정보화 진흥원,KTNET | 민간(네이버, 카카오, 패스, 토스 등) |
사 용 처 | 광범위 | 제한적 |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차이 및 토스, 패스, 네이버, 카카오 인증서 사용가능한 곳 정리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차이 및 토스, 패스, 네이버, 카카오 인증서 사용가능한 곳 정리
2020.6.9. 개정된 전자서명법이 2020.12.10일부터 시행되면서 공인인증서가 전면 폐지되었다. 공인인증서가 폐지된 이유를 알아보고, 새로 사용하게 된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의 차이에 대해서도
leverage50.tistory.com
2. 공동인증서의 종류 (기준: 사용범위)
구 분 | 일반 (금융거래용) | 범용인증서 |
용 도 | 용도가 제한적이라고 하나 대부분의 일상업무(은행, 보험, 신용카드, 연말정산 업무 등)를 하기에 이것만 발급해도 부족함이 없다. | 용도가 광범위하나, 사실상 증권거래나 사업을 하는 경우(세금계산서 발행, 조달청 등)에 필요하므로, 나중에 필요면 추가로 발급해도 된다. |
발급비용 | 무료 | 유료 (일부 무료) |
3. 범용인증서(범용 공동인증서) 종류
구분 | 개인 범용 공동인증서 | 사업자 범용 공동인증서 |
발급처 | 은행, 우체국, 코스콤, 한국정보인증, 한국전자인증, 한국범용인증센터, 한국사업자인증센터, 싸인코리아, 세무서, 조달청 등 | |
유효기간 | 1년 | 1년~3년 |
발급비용 | 4,400원 (1년 갱신시마다 비용 발생) |
통상 100,000원~300,000원 (갱신 주기나 발급처에 따라 가격 상이) |
* 유효기한 내 재발급은 무료(유효기간까지 사용 가능)이나, 유효기간이 경과한 후에 발급하는 갱신의 경우 비용이 발생
4. 사업자용 공동인증서 저렴하게 발급받는 방법
- 사업자용 공동인증서는 세금계산서 등의 발급이나, 사업을 위한 각 기관 사이트 로그인시 필요
사업자용 범용 공동인증서 | 전자세금용 공동인증서 | 세무서용 보안카드 발급 |
- 통상 10만원~30만원 - 갱신 주기에 따라 금액 상이하며, 발급하는 곳마다 할인률 다름 |
- 연 4,400원 - 세금계산서 발급에만 필요하다면 은행에서 전자세금용 공동인증서를 발급 |
- 영업장 소재지 세무서에 방문하여 세무서용 보안카드를 발급하면 재발급 없이 평생 무료 |
5. 휴대전화 본인인증이 어려운 해외 거주자의 공동인증서 발급 방법
해외거주자의 본인인증 방법, 공동인증서 및 아이핀 발급 방법
해외거주자의 본인인증 방법, 공동인증서 및 아이핀 발급 방법
네이버를 비롯하여 한국은 대부분의 온라인사이트 이용시 휴대전화 본인인증 또는 아이핀인증이 필수이다. 하지만 본인 명의의 한국 휴대전화번호가 없어 본인 인증이 불가한 해외거류자, 해
leverage50.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