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카드 결제가 후불교통카드, 체크카드, 카드결제, 동전, 지폐 등으로 가능한지 알아보고, 선불교통카드 발급 및 충전 방법, 후불교통카드 발급방법, 교통카드가 없는 경우 지하철 이용방법인 일회용권 발급 방법 및 요금, 동전이나 카드 오만원권 지폐로 결제가 되는지, 그리고 지하철 보증금 등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1. 서울 지하철 요금 결제 방법
지하철은 보통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에 있는 후불교통카드 기능을 이용하든지, 이러한 교통카드가 없다면 편의점이나 버스 가판대 등에서 구입해 현금을 충전한 선불카드를 찍고 이용할수 있다.
만약 이러한 후불교통카드나 선불카드가 없는 경우라면 지하철역에서 1회용권을 구입해서 이용해야하는데, 지하철 1회용권은 동전이나 신용카드, 신용카드 등으로 구입은 안되고, 지폐로만 구입이 가능하다.
하지만 일회용권 보다 교통카드를 이용해야 지하철 요금이 저렴하므로, 가능하면 교통카드를 미리 준비해서 이용하는 것이 좋다.
매월 정기적으로 지하철을 이용하신다면 지하철 정기권과, 최근 서울 전체와 경기, 인천 일부역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출시된 기후동행카드, 그리고 2024년 5월에 출시될 예정인 k패스 등을 이용하면 지하철 뿐만 아니라 버스까지도 환승하여 저렴하게 서울, 경기, 인천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기후동행카드와 k패스 요금 비교는 아래 글에서 확인해주세요
2. 지하철 선불교통카드 또는 후불교통카드 발급 및 충전 방법
지하철 교통카드는 크게 후불교통카드(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충전식 선불카드로 구분된다.
후불 교통카드인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는 전국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발급이 가능하며, 충전식 선불카드는 편의점이나 온라인 등에서 카드를 구입한 후, 지하철역이나 편의점 등에서 현금으로 충전하면 된다.
1) 후불교통카드 발급 방법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에 후불교통카드 기능을 탑재해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이용하는 교통카드의 경우 만12세 이상부터 금융기관에서 발급이 가능하다.
후불교통카드는 선불카드와 달리, 매번 충전을 할 필요가 없고, 정해진 날짜에 연결된 계좌에서 사용금액이 인출되므로 편리하다.
후불교통카드는 성인만 발급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분들도 많지만, 미성년자라더라도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받으면 후불교통카드를 발급해 교통기능은 물론이거니와 소액결제까지도 이용이 가능하다.
2) 선불 교통카드 발급
지하철이나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 신용카드나 체크카드가 없는 경우, 티머니카드나 캐시비교통카드를 구입하여 충전해 사용하면 된다.
선불교통카드 구매처는 지하철 역사내 고객안전실(매표 창구 아님), 또는 편의점, 버스가판대, 온라인 등에서 가능하며, 가격은 카드 종류 및 디자인에 따라 천차만별이며, 가장 저렴한 것은 3,000원이다.
선불교통카드 충전은 지하철 1회용권을 구매하는 티켓발매기, 편의점(GS25,씨유, 세븐일레븐, 미니스톱), 스토리웨이, 이마트24), 버스가판대, 은행ATM, 모바일티머니앱 등을 통해 가능하다.
은행ATM기 중에서 선불카드 충전이 가능한 곳은 우리은행, 신한은행, 제주은행, 하나은행, 국민은행, 우체국, 농협, 신협 ATM기이며, 충전은 1회 9만원까지 가능하다.
단 국민은행, 신협 ATM의 경우 해당은행에서 발급한 티머니만 충전이 가능하다.
특히, 청소년 교통카드의 경우 카드 구입 후, 생년월일 등록까지 하지 않으면 성인 요금이 적용된다.
청소년 교통카드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대중교통 카드 종류
미성년자 청소년용 후불식 교통카드 발급 방법, 청소년 후불교통카드 준비서류, 청소년 선불 교통카드 판매처, 생년월일 등록, 청소년 교통카드 생년월일, 재등록 필요 여부, 어린이 교통카드
rapidnews.co.kr
3) 선불 교통카드 지하철 충전 방법
지하철 승차권 발매기는 티머니카드 등 선불 교통카드의 충전도 가능하다.
교통카드 충전은 교통카드를 "교통카드 충전하는 곳"에 올려놓고, 충전금액을 선택한 후 현금을 투입하면 된다.
아쉽게도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로 충전은 불가하다.
3. 지하철 일회용권 요금 및 보증금
1) 지하철 일회용권 가격
지하철 탑승시, 교통카드가 없다면 아래 가격으로 1회용권을 반드시 구매해야한다.
일반과 청소년요금은 1,350원이고, 어린이는 450원이다.
2) 지하철 일회용권 무임승차 대상
지하철을 무료로 탑승가능한 만5세 이하 유아 발급할 필요가 없지만, 그외 노인, 장애인, 국가유공자은 무료로 탑승 대상이더라도 우대용카드를 소지하지 않았다면 일회용권을 발급해야한다. (단, 무료이며, 보증금은 현금으로 보유해야함)
지하철 일회용권은 지하철만 이용이 가능하고, 충전에서 버스를 이용하거나, 버스환승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또한 온라인으로 구매는 불가하고, 지하철 역사 안에 있는 발매기를 통해서만 발매이 가능한 카드이다.
3) 지하철 일회용권 보증금
지하철 일회용권은 지하철 요금과 별개로 보증금 500원을 받는다. 대신 도착지에서 반환받을 수 있다.
보증금 환급은 도착역에 있는 아래 보증금 사용한 카드를 넣기만 하면 된다.
4) 지하철 일회용권 동전, 지폐, 카드 결제
지하철 일회용권을 구매할 때에는 현금으로만 결제가 가능하며, 카드결제나 계좌이체는 불가하다.
현금도 5만원권 고액권이나 동전은 사용이 제한되므로 가능한한 천원권, 오천권, 만원권 지폐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물론 5만원권 고액권으로도 지하철 1회용카드 발매가 가능하지만, 5만원권을 사용은 지하철마다 최소 이용금액 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최소 금액 이상을 교통카드를 구매하지 않으면 거스름돈이 지급되지 않는다고 하니, 발매기에 부착된 안내문을 잘 확인해야한다..
예를 들어, 어떤 역은 5만원권 사용시 39,100원 이상 이용한 경우에만 가능한 경우도 있고, 어떤 역은 4만원 이상 충전시에만 가능한 경우도 있다.
5) 지하철 일회용권 종류
지하철 1회용권은 대상자에 따라 일반(청소년 포함), 어린이용, 우대용(경로, 장애, 유공자)으로 나뉜다.
청소년은 교통카드가 아닌, 일회용권을 사용하는 경우 성인과 동일한 요금을 내야하기 때문에 청소년은 일반용을 선택해야한다.
단, 만6세 이상~만13세 미만, 초등학생은 어린이용 요금을 지불하면 되기 때문에, 별도로 어린이용을 선택하면 된다.
우대용은 노인, 장애인, 유공자가 무임으로 탈 수 있는 카드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에 일회용 티켓을 무료로 발급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다만, 이 경우에도 일회용카드 보증금 500원은 우선 내고 발급해야하며, 도착시 반환 가능하다.
4. Q & A
1) 지하철요금을 교통카드로 결제하면 할인이 되나?
지하철은 교통카드를 이용하거나, 정기권 또는 알뜰교통카드 등을 이용하면더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중학생 이상의 청소년이라면, 교통카로 지하철 결제를 하면 요금이 800원이지만, 지하철 일회용권은 1,500원에 구매를 해야한다.
단, 지하철 역사 내 발권기에서 선불교통카드 구매가 되는 것이 아니므로, 지하철에 들어가기 전 편의점 등에서 미리 교통카드를 구매하고 충전까지 해서 지하철에 들어가는 것이 좋다.
2) 외국인, 재외국민, 영주권자노인은 지하철 이용시 일회용권을 끊으면 무료 탑승이 가능한가요?
외국인, 재외국민, 영주권자노인에 대한 무료 승차여부는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조수하세요
외국인, 재외국민, 영주권자 노인 우대용교통카드 총정리
외국인, 재외국민, 외국국적동포, 영주권자, 난민, 결혼이민자의 만 65세 이상 서울시 어르신 교통카드와 장애인교통카드 외국인 발급 방법에 대해서 안내드립니다. 1. 만 65세 이상 재외국민 어
leverage50.tistory.com
5. 함께 보면 좋은 글
지하철 정기권(1개월권) 종류, 선택방법, 가격, 이용방법 총정리
지하철 정기권(1개월권) 종류, 선택방법, 가격, 이용방법 총정리
목차 1. 지하철 정기권(1개월권/한달권) 종류 선택 방법 및 가격 2. 지하철 정기권(1개월권/한달권) 종류 및 주의사항 3. 지하철 정기권(1개월권/한달권) 구입, 충전, 사용, 반환 4. 지하철 정기권(1개
rapidnews.co.kr
알뜰교통카드 한번에 쉽게 설명(마일리지 적립액, 계산방식, 적립방법, 가입대상, 가입지역, 지
목차 1. 알뜰교통카드 개념 및 이용절차 2.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액 및 계산방식 3. 알뜰교통카드(앱) 회원가입 가능한 대상 및 지역 4. 알뜰교통카드(앱) 마일리지 적립방법 5. 알뜰교통카
rapidnews.co.kr
댓글